top of page

독일역사, 종교개혁 I

  • 작성자 사진: 박동수 입니다.
    박동수 입니다.
  • 2024년 7월 18일
  • 4분 분량

최종 수정일: 2024년 8월 3일

개신교 종교개혁 I,


좁은 의미의 종교개혁은 16세기 초에 서구 기독교를 개신교인 루터교, 개혁파, 재세례파, 가톨릭 등 여러 다른 종파로 분열시키는 교회 쇄신 운동이었다. 그 시작은 전통적으로 마틴 루터가 비텐베르크 성 교회 문에 면죄부 판매에 반대하는 95개 논제를 게시했던 1517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종교개혁은 처음에는 비텐베르크와 취리히에서 시작되었다. 1540년대에 존 칼빈(John Calvin)의 영향으로 제네바는 범유럽의 영향을 받는 제3의 중심지로 발전하였다. 1555년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있었던 종교평화의 조약은 신성 로마 제국 내에서 개혁신앙과 반대 신앙의 문제들이 평화라는 잠정적인 결론으로 마무리 된다.  하지만1618년 30년 전쟁으로 이어졌던 개신교와 개혁을 반대하는 무리, 가톨릭 제국 사이의 차이는 1638년 베스트팔렌 평화조약으로 해결이 된다. 그 외 신성로마 제국 밖에서도 종교개혁 운동은 17세기까지 계속되었다.

더 넓은 의미에서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초기 후스파의 노력이나 15세기 후반의 제국주의 개혁과 같이 중세 말과 근대 초기의 종교적, 세속적 성격의 개혁에 적용되었다.


오늘날에도 여전히 개신교 교회의 공통분모인 종교 개혁의 핵심 사항은 종종 소위 배타적 입자인 네 가지 라틴어 solus "오직"로 표현된다.

• sola gratia: 믿는 사람은 하나님의 행위가 아닌 오직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을 받는다.

• sola fide: 인간은 선행이 아니라 오직 믿음으로만 의롭게 된다.

• sola scriptura: 오직 성경만이 기독교 신앙의 기초이지 교회 전통은 아니다.

• 유일한 그리스도: 오직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 사역, 가르침만이 인간의 믿음과 구원의 기초가 될 수 있다.


종교개혁 운동은 처음부터 다양하였다. 루터교는 비텐베르크 종교개혁에서 나왔고, 장로교와 회중교회를 포함하는 개혁교회는 스위스 종교개혁에서 탄생하였다. 급진적 종교개혁에는 예수의 신약 공동체를 회복하고자 했던 스위스 종교개혁의 맥락에서 등장한 영성주의와 아나뱁티스트 운동이 포함된다. 그들이 독점적으로 행하고 반대자들이 재세례라고 부르는 신자의 세례는 엄밀히 말하면 그들의 교회논의 일부일 뿐이며 결과이었다. 그들에게 교회는 사회적 장벽이 무너진 신자들의 공동체였다. 그들은 만인제사장 직을 실천하고 초기 민주적인 방식으로 장로와 집사를 선출했다. 그들은 교회와 국가의 근본적인 분리를 옹호했고, 그들 자신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종교의 자유를 요구했으며, 운동의 대부분에서 선서를 거부하였다. 무엇보다 당국은 이들을 의심하게 되었고 당국은 가혹한 대응과 박해에 나섰다.


오늘날 아나뱁티즘에서 나온 교회에는 메노파(Mennonites), 후터라이트(Hutterites), 아미쉬(Amish)파가 포함된다.


- 메노파는 종교개혁 시대의 아나뱁티스트 운동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개신교 자유 교회이다. 이름은 프리슬란트 출신의 신학자 Menno Simons(1496~1561)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유럽의 박해와 법적 제한으로 인해 특히 1715년에서 1815년 사이에 메노파와 기타 재세례파가 동유럽과 북미로 이주하게 되었는데 박해에도 불구하고 자유교회는 중부 유럽에서 확고한 입지를 유지할 수 있었다.

언론에는 매우 보수적인 세속적인 생활 방식을 선도하고 대개 독일 배경을 갖고 있는 북미 또는 남미의 메노파에 대한 보도가 항상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그룹은 메노나이트 스펙트럼의 한 부분일 뿐이며, 여기에는 많은 현대 및 자유주의 공동체와 기타 많은 인종적 소속도 포함된다.

오늘날 메노파는 지리적으로 아프리카, 북미, 아시아, 특히 인도와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 전 세계에 퍼져 있다.


-후터라이트 브라더스(Hutterite Brothers)라고도 불리는 후터라이트(Hutterites)는 야콥 후터(Jakob Hutter)로 거슬러 올라가는 아나뱁티스트(Anabaptist) 공동체로, 추종자들은 초기 예루살렘 공동체의 모델을 기반으로 한 재산 공동체에 살고 있었다. 후터라이트는 통일된 조직을 형성하지 않고 여러 개의 독립적인 하위 그룹으로 구성된다. 1528년 창립 이후 회원들이 자주 이주해야 했던 이유는 그들의 가르침과 종교적 실천 때문이었다. 오늘날 약 45,000명의 추종자들이 거의 전적으로 미국과 캐나다에만 살고 있다. 오늘날까지도 그들은 바이에른-오스트리아 방언인 후터라이트(Hutterite)를 모국어로 사용한다.


-아미쉬는 주로 미국에 거주하는 아나뱁티스트-개신교 종교 공동체이다. 이름은 설립자인 Jakob Ammann(1644~1730)의 이름에서 유래된다. 아미쉬는 중부 유럽, 특히 스위스와 독일 남부의 종교 개혁 아나뱁티스트 운동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아미쉬는 1693년에 재세례파의 주류인 메노나이트에서 분리되었다.

오늘날 사람들이 아미쉬(Amish)에 대해 이야기할 때, 그들은 거의 항상 Old Order Amish를 의미한다. 19세기 후반에 아미쉬는 다양한 하위 그룹으로 나뉘었는데, 그 중 구교단 아미쉬는 약 1/3만을 차지하였다. 대부분의 다른 하위 그룹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미쉬 특성을 잃고 미국 사회에 동화되었다. Old Order Amish 외에도 Kauffman Amish Mennonites, Beachy Amish 및 New Order Amish는 오래된 Amish 문화의 일부를 유지하였다. 보수적인 메노나이트는 대부분 아미쉬 출신이며 메노나이트와 아미쉬의 전통을 모두 보존해 왔다. 구교단 아미쉬(Old Order Amish)는 현재 40개 이상의 하위 그룹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상당히 다른 모습이다.

Old Order Amish는 농업에 깊이 뿌리를 둔 삶을 살고 있으며 특정 현대 기술을 거부하고 그 의미를 신중하게 고려한 후에만 혁신을 채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미쉬는 명확하게 정의된 성 역할, 공동체, 외부 세계로부터의 고립을 갖춘 가족에 큰 가치를 둔다. 다른 아나뱁티스트 교회와 마찬가지로 아미쉬교는 오직 고백 세례만을 실천하며 산상수훈에 따라 폭력과 맹세를 거부한다.

아미쉬는 주로 독일 남서부 또는 독일어를 사용하는 스위스인의 후손이며 대부분 펜실베이니아 독일어를 사용하는 반면, 소규모 하위 그룹은 대신 알자스 또는 베르네 독일어 방언을 사용한다. 2015년에는 약 300,000명의 아미쉬가 미국 32개 주와 캐나다 온타리오의 약 500개 정착지와 2,200개 자치구에 거주하였다.

최근 수십 년 동안 아미쉬는 대중문화에서 인기 있는 주제가 되었으며, 특히 대중 매체에서는 현실과 크게 다른 아미쉬의 모습을 묘사하고 있는데 아미쉬에 대한 고도로 왜곡된 묘사의 가장 좋은 예는 텔레비전 시리즈인 아미쉬 마피아를 들 수 있다.

영국 성공회 개혁의 결과로 특별한 형태가 등장했고, 유니테리언주의는 동유럽 일부 지역에서 발전하였다. 트란실바니아의 종교개혁은 “교회사의 특별한 사례”로 간주된다.

 

후스파 운동의 모체가 된 15세기 초의 보헤미안 종교개혁은 때로 “제1차 종교개혁”으로 불린다. 창립자는 프라하 설교자 Jan Hus였으며, 그의 가르침은 로마 교회에서 벗어났으며 유럽 중세 시대에 처음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공식적인 인정을 받았다. 후스는 영국 신학자 존 위클리프의 영향을 받았는데, 그는 14세기 후반에 교황의 권력 주장에 이의를 제기하고 나중에 개신교로 유입된 신앙을 공식화하였다.


중세 후기 라틴어 용어로 개혁(Reformation)은 과거의 이상화된 질서로의 복귀를 의미할 뿐만 아니라 개혁 조치를 의미하기도 한다. 당시 반항적인 농부들은 개혁이라는 전통적인 개념을 채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개혁이라는 단어는 루터나 츠빙글리, 칼빈에게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16세기 중반부터 지금은 세상을 떠난 개척자들을 개혁가로 부르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베스트팔렌 조약은 1648년에 Ius Remanandi라는 용어를 도입했고, 개혁된 것은 교파 자체 명칭이 되었다.


종교개혁이라는 용어는 19세기 중반까지만 해도 '개혁'이라는 넓은 의미를 갖고 있었지만, 16세기에는 종교 갈등으로 좁혀졌다. Leopold von Ranke(독일 종교개혁 시대의 역사, 1839~1847)는 종교개혁 시대를 역사적 시대로 다룬 최초의 사람이다. 복잡한 과정이 이런 식으로 개념화되고 역사적 시대에 그 이름이 붙었다는 사실은 19세기 초 개신교가 지배한 독일 역사학문이 얼마나 강력했는지를 보여준다.


가톨릭 교회 역사가 휴버트 제딘(Hubert Jedin)은 중세 후기부터 계몽주의까지 로마 가톨릭 교회 내에서 일어난 주요 개혁 운동을 보고 이단으로 간주하여 인용 부호로 묶은 개신교 종교 개혁을 반개혁으로 분류하였다.


1941년 롤랜드 베인턴(Roland Bainton)은 아나뱁티스트(Anabaptist) 운동과 영성주의자(Spiritualists)와 같은 그룹이 전통과 더욱 급진적으로 단절할 준비가 되었기 때문에 "종교개혁의 좌파"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정치적 의미 때문에 조지 헌트스턴 윌리엄스(George Huntston Williams)는 이들 그룹에 대해 급진적 개혁(Radical Reformation)이라는 용어를 제안했고, 이는 영어권 국가에서 널리 받아들여졌다.


박동수

 
 
 

Comments


7516837456_IMG_0221.JPG

안녕하세요.

1980년에 독일에 들어와 사는 한국인입니다. 그 당시 독일 광산노동자이셨던 아버지, 간호원으로 일하시던 어머니, 부모님의 가족 초청으로 1980년 독일로 들어왔습니다.

한 사람 한 사람 모든 사람이 대접받는 독일 사회를 이야기하는 공간입니다. 한국을 좋아하고 한국에 사는 사람들이 독일과 같이 대접받는 미래를 만들어가고 싶습니다. 오늘은 부족하여도 내일은 채워지고 조금씩 나아지는 우리 사회를 꿈꿉니다.

 

혹 문의하실 사항들은 저의 메일을 사용하여 주십시요.

dspark4@hotmail.com

pexels-karolina-grabowska-4207892.jpg

구독 및 업데이트 수신

구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Impressum     Datenschutz     AGB

© 2035 Gedankengänge. Erstellt mit Wix.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