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Hidden Champion, 숨어있는 참피언

  • 작성자 사진: 박동수 입니다.
    박동수 입니다.
  • 2023년 10월 10일
  • 7분 분량

최종 수정일: 2024년 12월 28일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마도 "숨겨진 세계 시장 리더"에 대해 들어봤을 것이다. 히든 챔피언, Hidden Champion이라는 용어를 창안한 Hermann Simon, 헤르만 시몬 교수는 그 이면에 정확히 무엇이 있고, 이들 기업의 차별점은 무엇인지 경제학 연구에서 집중적으로 다루어 발표하였다.

실제로 독일기업이 수출에 강한 이유는무엇인가? 1980년대 중반, 이 질문으로 인해 시몬교수는 독일 내의많은 알려지지않은 세계 시장 리더들을 추적하게 되었고, 그는 그들을 "Hidden Champions, 히든참피언"이라는 명칭으로 만들었다. 그의 이발표는 학계에서 기업에서 선풍적인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높은인기를 가지게 되었다. 인터뷰에서 Simon은 히든챔피언이 정확히 무엇인지, 특히 독일 경제에서 이들 기업이 중요한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ree

Hermann Simon(1947년 2월 10일 Hasborn 출생), 헤르만 시몬은 독일의 경영 컨설턴트이자 기업가이다. Simon은 경제학 명예 교수, 작가, 연사이며 1988년부터 매니저 매거진에 칼럼니스트로 활동해 왔다.


히든 챔피언을 어떻게 정의하고, 이들이 일반적으로 어떤 특징을 가지나?

- 이들은 글로벌 시장의 해당 시장 부문에서 가장 중요한 세 회사 중 하나인 중견 기업입니다. 이들의 연간 매출은 50억 유로 미만이며 대중 인지도는 일반적으로 낮습니다. 이는 이들 회사의 대다수가 소비재를 다루지 않고 산업재에 중점을 두기 때문입니다. 이들 히든 챔피언은 전 세계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틈새 시장에 집중하고 있으며 각각 매우 좁은 영역에서 뛰어난 노하우와 높은 수준의 수직적 통합을 달성합니다.


히든 참피언 회사들은 독일 산업에 얼마나 중요한가요?

- 정확히 히든 챔피언은 독일 수출력의 상당 부분을 창출하고 간접적으로 국가 번영을 창출합니다. 저는 전 세계적으로 약 4,000 히든 챔피언급 기업들을 확인했으며 그 중 약 1,600개 기업이 독일에 있습니다. 독일만큼 히든챔피언이 많은 나라는 없습니다!


독일에는 왜 이렇게 많은 회사가 있는 걸까요?

- 이에 대한 이유는 적어도 12가지 이상 나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나는 몇 가지로 제한하고 싶습니다. 1918년까지 독일은 통일된 민족국가가 아니었지만 20개 이상의 군주제와 공국, 3개의 한자동맹 도시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성장을 원하는 뮌헨 출신 기업가가 슈투트가르트나 드레스덴과 사업을 하고 싶다면 당시 "국제화"는 필수였습니다. 국제화를 향한 이러한 초기 경향은 오늘날 독일 기업가들에게 일반적이고 여전히 쉽게 접근합니다. 이 예는 프랑스, ​​일본 또는 미국과는 매우 다르다는 점을 확인합니다. 또 다른 이유는 독일 기업들은 많은 지역에서 매우 구체적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독일 Schwarzwald, 검은 숲 지역에는 500개가 넘는 의료 기술 회사가 있습니다. 그 기원은 현지 시계 산업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괴팅겐에는 39개의 정밀 측정 기술 회사가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괴팅겐대학교의 수학 교수진은 수세기 동안 세계를 선도해왔기 때문입니다. 물론 독일에서의 직업고등학교 두얼직업 훈련 시스템 (산학직업교육)은 히든 챔피언에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하여 독일 기업들은 세계에서 가장 잘 훈련된 숙련된 인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성공을 위한 좋은 기반입니다. 구체적인 사례가 있나요?

- 예를 들어, 원격 컴퓨터 유지 관리용 소프트웨어로 성장한 Göppingen의 Teamviewer 회사를 생각해 보겠습니다. 이 소프트웨어는 현재 전 세계 약 25억 대의 장치에서 실행됩니다. 또는 Flexi 회사: Bargteheide에서 애완견을 위한 롤업 목줄을 생산합니다. 전 세계 90개국 이상에서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Waiblingen의 전기톱 제조업체 Stihl은 언론에 자주 등장합니다. 제어 및 자동화 기술을 다루는 Esslingen의 Festo 그룹 또한 그렇습니다. 히든챔피언 중에 슈퍼스타이긴 하지만. 전 세계의 히든 챔피언 공장을 방문할 때마다 공통적으로 묻는 질문이 있습니다. Festo 기술을 사용하십니까? 대답은 100%입니다. 그렇습니다.

- FESTO 기업: Festo Beteiligungen GmbH & Co. KG는 제어 및 자동화 기술을 생산 및 판매하는 Festo 그룹이다. 본사는 Esslingen am Neckar에 있으며 회사는 Stoll 가족이 소유하며 경영하고 있다. 산업에 자동화 기술을 선도하며, 자동화에 대한 공장 설비에서부터 자동화 기술을 위한 시물레이션 장비와 기술을 동시에 제공하여, 공장 설비, 자동화 실습과 교육을 통하여 제조 산업에서는 필수적인 기업이다.


독자들은 Festo에 대해 좀더 자세히 알아야 합니다. 그러면 최근에 특히 긍정적이라고 생각하는 회사는 무엇입니까?

- 예를 들어, 주조에 필요한 화학 물질 분야의 세계 시장 선두주자인 뒤셀도르프에 있는 회사인 Hüttenes-Albertus는 에너지를 절약하고 재료 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매우 경제적입니다. 마인츠의 Hillebrand로 독일은 또한 주류 물류 부문에서 세계 시장의 선두주자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저의 고향인 아이펠(Eifel)의 또 다른 예: MK Technology는 Bonn 근처 Grafschaft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매몰 주조라고 불리는 매우 복잡한 구조물의 주조를 다루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 회사는 Elon Musk의 우주 회사인 Space X에 로켓용 매우 복잡한 연소실을 공급합니다.


이렇게 매우 다른 회사들은 어떤 공통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까?

- 아직 몇 가지 중요한 사항이 남아 있습니다. 키워드 혁신으로

  1. 히든 챔피언은 업계 평균보다 연구개발에 2배의 비용을 지출하고 5배의 특허를 등록합니다.

  2. 또 다른 면으로는 고객 근접성: 히든 참피언 기업의 직원 38%가 고객과 정기적으로 접촉합니다. 잘 알려진 대기업에서는 영업 사원 정도인 8%에 불과합니다.

  3. 숙련 인력: 인력 규모 기준 약 10%에 달하는 훈련생 할당량을 통해 히든 챔피언은 업계 평균보다 2배 많은 수의 견습생을 양성합니다.

히든챔피언 기업은 연봉도 높습니까?

- 급여는 평균 수준입니다. 최고를 위해 일하려는 동기는 직원들에게 훨씬 더 매력적이며, 이들 회사에서는 직원들의 변동성이 매우 낮습니다. 대부분의 히든 챔피언은 대도시가 아닌 지방에 있습니다. 이 지역들은 가까이 농촌 지역으로 비교적 도시보다 생활비가 더 낮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직원들이 "자신의" 회사에 동질감을 느끼고 그곳에서 일하는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따라서 매년 히든 챔피언 직원 중 평균 2.7%만이 회사를 떠나는데, 참고적으로 독일 평균은 7.3%입니다.


히든챔피언의 미래 성장을 위해 연구개발은 얼마나 중요한가?

- 이 점은 매우 중요하며, 어쩌면 결정적일 수도 있습니다. 비슷한 규모의 중국 기업은 이제 세계 시장 리더에 비해 연구 개발 직원 수가 약 3배나 많기 때문에 여기서 뭔가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광학 및 포토닉스 분야의 세계 시장 선두주자인 Carl Zeiss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이 회사에는 3,100명의 직원이 연구에 종사하고 있습니다. 감시 카메라 분야에서 중국의 세계 시장 선두주자인 Hikvision에서는 9,300명의 직원이 이 분야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이는 정확히 3배에 달하는 수입니다. 매우 높은 혁신력이 있어야만 세계 시장에서 기술 리더십을 유지하거나 확장할 수 있습니다. 2005년에 전 핀란드의 Nokia를 방문했습니다. 당시 세계 시장 점유율이 거의 50%에 달하는 휴대폰 시장의 확실한 선두주자였습니다. 따라서 Nokia 관리자들은 전혀 걱정하지 않았습니다. "우리는 무적입니다. 연구에 종사하는 직원이 19,000명에 달합니다."라고 그들은 말했습니다. 3년 후, 뉴델리에서 저는 화웨이 사장이 "우리 연구개발 인력은 52,000명입니다"라는 연설을 들었습니다. 우리 모두 그 이야기는 어떻게 마무리 되었는지 잘 알고 있습니다.


또 다른 점은 독일 중견기업은 전통적으로 자기자본화 수준이 높으며 일반적으로 경상 소득으로 성장 자금을 조달한다는 것입니다. 당신은 최근에는 독일 중견기업들에게 주식시장 금융을 추천하기 시작했습니다. 왜인가요?

- 제가 새 책에 "세기의 게임의 중국기업의 새로운 규칙"이라는 부제를 붙인 것은 아무것도 아닙니다. 일찍 상장해 돈을 많이 모으는 게 중국 기업의 특징이다. 왜 그들은 이 방식을 하는 걸까요? 그들은 급속한 성장과 연구 개발에 투자합니다. 현재 독일 중견 기업들이 스스로에게 묻고 있는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로 현금 흐름을 통해 회사 성장에 자금을 조달한다면 꾸준히, 그러나 천천히 성장할 것입니다. 아니면 이 경쟁 선에서 중국 경쟁을 따라잡기 위해 다른 곳에서 더 많은 자본을 확보해야 합니까? 저는 일부 독일 가족 기업이 다시 생각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그들은 주식 시장을 추가 자본 소스로 활용해야 합니다.


히든 챔피언은 가족 기업인 경우가 많으며 수십 년 동안 경험이 풍부한 기업가가 관리해 왔습니다. 그게 장점인가요?

- 실제로 히든챔피언 기업 전무이사의 평균 임기는 21년입니다. 독일의 대기업에서는 6년밖에 되지 않습니다. 한편으로 이는 장기적인 방향과 전략에 관해 많은 것을 말해줍니다. 그러나 현재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 변화의 시대에는 필요한 변화를 차단하거나 지연시킬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나에게 중요한 것은 지난 40년 동안 특히 독일 중견 기업이 얼마나 적응력이 뛰어난지 보여주었다는 것입니다.


리더십과 협력에 관한 일반적인 상황은 무엇입니까?

- 우선순위, 전략, 원칙에 있어서 우리는 항상 위에서부터 결정이 내려지고 맨 아래에서 실행되는 것을 봅니다. 하지만 히든챔피언 기업들의 직원들은 운영상의 문제에 있어서 훨씬 더 많은 선택의 자유와 재량권을 갖고 있습니다. 이는 속도와 민첩성을 의미하며, 이는 시장에서 생존하기 위한 귀중한 이점입니다. 그리고 팀 정신은 히든 참피언 기업이 가진 DNA 의 일부입니다. 일부 대기업에서는 모든 단계마다 별도의 매뉴얼을 가지고 있지요.


당신은 거의 40년 동안 히든챔피언이라는 주제를 다루어왔고, 심지어 이 용어도 만들어냈습니다. 그것에 대해 아직도 당신의 마음을 끄는 점은 무엇입니까?

- 이 주제는 여전히 매우 흥미롭고, 새로운 측면과 특이한 발전이 계속해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제가 다루는 이 아이디어는 하버드 교수 Theodor Levitt와의 대화에서 나왔습니다. 1987년에 그는 나에게 왜 독일 산업이 수출에 성공했는지 물었습니다. 작년에 우리는 처음으로 세계 수출 챔피언, 1위가 되었습니다. 내 첫 번째 생각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아마도 Siemens, Daimler, BASF 등과 같은 대기업 때문일 것입니다. 그러나 저는 경영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수많은 실증적 연구를 통해 독일의 지속적인 수출 성공을 책임지고 있는 중소 규모의 세계 시장 리더들이 엄청나게 많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들 기업은 그 이후 글로벌 시장의 급격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세계화 단계를 주요 성장 동인으로 삼아 오늘날에도 여전히 큰 성공을 거두고 있습니다. 이들 회사는 오늘날 30년 전보다 평균 10배 더 커졌습니다!


이것이 중국의 경제 성장과도 연관이 있는 걸까요?

- 예. 그렇습니다. 독일의 히든 챔피언은 현재 중국에서 2,000개 이상의 공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반면 독일에서는 중국인이 건설한 공장이 5개에 불과합니다. 우리의 히든 챔피언은 현재 평균 50개의 해외 자회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전 세계 고객과 매우 가깝습니다. 디지털화라는 주제도 중요합니다. 많은 독일 기업이 선두에 있지만 눈에 띄지는 않습니다. Apple이 독일에 얼마나 많은 공급업체를 보유하고 있는지 추측해 보세요. 총 767개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에 대해 잘 알려진 회사는 하나도 없습니다...


현재 우리는 더욱 지속가능한 키워드 탈탄소화를 향한 대규모 경제 구조조정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기회를 가진다 생각하는지요?

- 이 분야는 엄청난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많은 히든 챔피언이 이미 어떤 식으로든 이 분야에 진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분야의 대부분의 플레이어는 틈새 시장에서 시작합니다. 예를 들어 수소 또는 신소재. 이것이 바로 이러한 회사들에게 적합한 경쟁의 장입니다. 예를 들면, 오늘날 대부분의 셔츠는 생산하는 데 엄청난 양의 물이 필요한 소재인 면으로 만들어집니다. 그러나 면섬유는 목재섬유로 대체될 수 있다. 세계 시장의 선두주자는 오스트리아 회사 Lenzing입니다. 면 셔츠의 경우 2,700리터의 물이 필요하고, Lenzing, 렌징의 소재인 Lyocell, 리오셀로 만든 셔츠의 경우 180리터가 필요합니다. 면 셔츠의 재배 면적은 리오셀 셔츠의 10배에 달하며, 셔츠는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가격, 재활용과 재제조 분야에도 잠재력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커피 캡슐의 경우 알루미늄을 생물학적 기반 소재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 이 것 모두 독일 히든챔피언들의 활동 영역이다.


불행히도 현재 여러 가지 심각한 위기가 동시에 발생하고 있으며 독일 산업은 엄청난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이는 기업, 특히 히든 챔피언에게 무엇을 의미할까요?

- 현재 우리는 가치사슬이 전 세계적으로 재편되는 탈세계화 단계를 겪고 있습니다. 수출이 직접투자로 대체되고 있는데, 이는 중국과 미국의 공장과 연구소에 더 의존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이는 반대 방향으로도 적용됩니다. 독일 내 Schönheide지역의 Tesla 또는 독일 도시 Magdeburg의 Intel의 계획된 투자를 살펴보십시오. 저는 최근 약 100개의 중국 자동차 공급업체와 미팅을 가졌습니다. 모두 독일에서 생산을 원하고 있습니다. 코로나뿐만 아니라 지정학적 긴장으로 인해 우리는 글로벌 공급 망의 위험이 너무 높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제 생각에는 현재의 가장 큰 추세는 목표 시장에 더욱 깊이 진출하는 것입니다. 이는 생산과 연구를 포함한 전체 가치 사슬에 적용됩니다.


ree

Hermann Simon(1947년 2월 10일 Hasborn 출생), 헤르만 시몬은 독일의 경영 컨설턴트이자 기업가이다. Simon은 경제학 명예 교수, 작가, 연사이며 1988년부터 매니저 매거진에 칼럼니스트로 활동해 왔다.

Simon은 Eifel 농장에서 성장하였다. 1969년부터 1973년까지 쾰른과 본에서 경제학과 경영학을 공부한 후, 1976년에 박사 학위를, 1979년에 그는 본에서 호르스트 알바흐 밑에서 전문 훈련을 마친다.

1985년에 Simon은 컨설팅 회사인 Simon-Kucher & Partners를 설립하였으며 1995년부터 2009년까지 이사회 의장을 맡았다. 2009년부터 시몬쿠허 회장을 맡아오다가 70세에 '명예회장'이 됐다. 그는 독일 증권거래소 최초의 특수목적 인수회사(SPAC)인 "Helikos"의 공동 창립자이였다.

Simon은 30개 언어로 출판된 40권 이상의 책을 집필한 저자이다. 가격 관리에 관한 그의 저서는 전 세계적으로 표준 저작물이 되었다. 그는 특히 전문가들에게만 알려진 중간 규모의 글로벌 시장 리더들을 집중적으로 다루었으며, 이를 '히든 챔피언'이라는 용어로 명명하였다. 그는 또한 1995년에 "서비스 사막"이라는 문구를 만들었다.

2009년에 Simon은 슬로베니아 IEDC-Bled 경영대학원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그곳에서 그는 "IEDC 국제 자문위원회"에 참여하고 있으며 정기적으로 강의를 하고 있다. 2011년 지겐 대학교와 2012년 바르샤바의 아카데미아 레오나 코스민스키에고(Akademia Leona Koźmińskiego)는 그에게 또 다른 명예박사 학위를 수여하였으며, Simon은 2019년부터 독일 히든 챔피언 협회 e.V.의 명예 회장을 맡고 있다. 중국에서는 2021년에 그의 이름을 따서 개교한 Hermann Simon Business School이 만들어 질 정도로 중국에서는 매우 영향력 있는 유명인이다.


박동수

 
 
 

Comments


7516837456_IMG_0221.JPG

안녕하세요.

1980년에 독일에 들어와 사는 한국인입니다. 그 당시 독일 광산노동자이셨던 아버지, 간호원으로 일하시던 어머니, 부모님의 가족 초청으로 1980년 독일로 들어왔습니다.

한 사람 한 사람 모든 사람이 대접받는 독일 사회를 이야기하는 공간입니다. 한국을 좋아하고 한국에 사는 사람들이 독일과 같이 대접받는 미래를 만들어가고 싶습니다. 오늘은 부족하여도 내일은 채워지고 조금씩 나아지는 우리 사회를 꿈꿉니다.

 

혹 문의하실 사항들은 저의 메일을 사용하여 주십시요.

dspark4@hotmail.com

pexels-karolina-grabowska-4207892.jpg

구독 및 업데이트 수신

구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Impressum     Datenschutz     AGB

© 2035 Gedankengänge. Erstellt mit Wix.com

bottom of page